Economics & Business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전쟁의 이유와 이란, 미국과의 이해관계 정리

creative2pd 2024. 10. 5. 18:23
728x90
반응형

 

이스라엘과 헤즈볼라 간의 갈등은 복잡한 역사적, 정치적, 종교적 요인들이 다양하게 얽혀 있는 사안이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원인들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려고 합니다.

1. 역사적 갈등: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의 갈등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시작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의 건국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대규모 이주와 관련되어 있어, 이 지역에서의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긴 역사적 갈등과 관련해서는 아래 벌거벗은 세계사 영상을 보면 좀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다. 

 

2. 레바논 전쟁: 1982년 이스라엘은 레바논에 군사 작전을 단행하여 헤즈볼라가 결성되었습니다. 헤즈볼라는 이스라엘의 레바논 침공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무장단체로, 레바논 내에서 이스라엘의 영향력을 저지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격 역시 무방단체 헤즈볼라를 저지하기 위한 공격으로 레바논은 아래 그림처럼 이스라엘의 북쪽 시리아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4년 전 수도 베이루트에서 대규모 폭발로 많은 인명피해를 입었던 곳이기도 하다. 

 

3. 이란과의 관계: 헤즈볼라는 이란의 지원을 받으며, 이란은 레바논 내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이스라엘에 대한 적대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란의 군사적 지원은 헤즈볼라의 군사력과 정치적 힘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도 이스라엘이 계속해서 레바논과 헤즈볼라를 공격하면서 이란의 공격이 곧 임박했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사실상 이란이 실질적으로 공격해올 경우 미국과 연합하여 이란의 정권을 무너뜨리려는 계획을 뒤에 숨기고 있습니다. 

 


4. 팔레스타인 문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은 헤즈볼라의 입장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헤즈볼라는 팔레스타인 문제를 이스라엘에 대한 저항의 중요한 요소로 보고, 이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정당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배경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면 이스라엘이 국가를 설립하고 유대인들이 기존에 살고 있던 아랍인들을 추방하면서 가자지구와 레바논 지역으로 떠돌이 생활을 하게 되었습니다. 가자지구는 하마스 단체가 팔레스타인과 레바논 지역은 헤즈불라 단체가 정치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팔레스타인들 입장에서는 유대인들이 이스라엘을 건국하면서 자신들을 추방했다고 생각하고 이스라엘 입장에서는 무력행사를 하는 팔레스타인들이 안보의 위협으로 느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5. 국내 정치: 레바논 내에서 헤즈볼라는 정치적으로도 큰 힘을 가지고 있으며, 이스라엘과의 갈등은 내부적으로 헤즈볼라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반응형